[신간 소개] 서울, 아시아 금융허브 도약 - 차별화와 인프라 구축 전략(머리말 소개) by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금융혁신 모델 - 아시아 금융허브는 국가적 사명
▲ [신간 소개] 서울, 아시아 금융허브 도약 - 차별화와 인프라 구축 전략(표지 소개) [출처=iNIS]
□ 신간 소개
○ 서울, 아시아 금융허브 도약 - 차별화와 인프라 구축 전략
□ 서지 정보
○ 저자 : 민진규
○ 판매가격 : 9,900원
○ 출간일 : 2025년 11월 30일
○ 판매
▶ 교보문고 :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12248808
▶ YES24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67466200
▶ 알라딘 : 예정
□ 머리말 소개
서울의 글로벌 금융허브 부상을 꿈꾸며...
지금으로부터 3년 전 필자는 윤석열정부의 금융정책이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간다고 판단해 ‘서울, 아시아 금융허브’라는 칼럼을 언론에 기고하기 시작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KDB산업은행 등 주요 금융공기업을 부산광역시로 이전하겠다고 밀어붙였기 때문이다.
2022년 11월 당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과 KDB산업은행의 노동조합이 반대하는 가운데 야당인 더불어민주당도 반대 의사를 명확하게 내놓지 못하고 있었다. 자칫 지방균형발전이라는 범국가적 아젠다를 반대한다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며 우려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여당인 국민의힘 소속 오세훈 서울시장도 공개적으로 윤석열정부의 정책을 비판하지 않았다. 비공식적으로 수용하지 않는다는 의지를 피력했다고 주장하지만 대안은 없었다. 정부와 대통령의 눈치만 보며 갈등을 방치했다.
우리나라 경제는 1960년대 이후 경공업부터 시작해 중화학공업, 전기·전자산업,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등 제조업을 기반으로 성장했다. 대규모 설비와 신기술 개발을 위한 자금이 필요해 금융업의 육성이 중요한 정책이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금융은 정치인과 관료가 주무르는 관치금융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공무원은 금융공기업뿐만 아니라 민간 금융회사의 경영까지 간섭하며 대출과 금리를 결정하고 시장의 기능을 왜곡했다.
고도 성장기를 거치며 금융업의 덩치는 커졌지만 경영 후진성은 벗어나지 못했다. 우리나라 금융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서울을 동북아 금융허브로 도약시키려면 정치인, 공무원, 금융기업 경영자와 임직원 등이 다음과 같은 현실에 공감대를 가질 필요가 있다.
첫째, 서울이 홍콩·싱가포르·도쿄·상하이 등과 비교해 절대 우위의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싱가포르가 크게 앞서나가며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다.
둘째, 한국의 경제 규모나 글로벌화 수준을 고려하면 1개 이상의 금융허브를 구축할 여력은 충분하지 않다. 서울도 국내 금융중심지에 불과하고 동북아 금융허브라고 부르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 제2·제3의 금융허브를 만들려는 시도는 만용에 해당된다.
셋째, 부산이 정치인이나 공무원이 주장하는 것처럼 글로벌 해운금융 도시가 되기란 쉽지 않다고 인정해야 한다. 금융이 아니라 조선업, 해상물류, 수산업 등의 해양산업부터 키우면서 자연스럽게 해운금융의 수요를 촉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금융업은 돈을 빌리고자 하는 고객, 외국계 투자자, 로펌, 회계법인, 컨설팅기업 등이 유기적으로 협력해야 발전할 수 있다. 국내외 이해관계자의 입장에서 접근성이나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진 국제도시에서만 금융업이 발전하는 이유다. 부산이나 전주가 이러한 여건을 확보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
다섯째, 제조업처럼 금융업도 첨단 전산시스템과 금융기법의 개발에 막대한 투자가 요구되는 장치산업이라는 점도 잊지 않아야 한다. 전산시스템의 개발과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개발자를 확보하지 않으면 자금력만으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 은행의 본점을 지방으로 옮긴다고 금융 인프라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은 더욱 아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정치인과 공무원, 금융업 종사자 모두가 금융업의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서울마저도 아시아 금융허브로 부상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독자 여러분의 관심과 열정이 관치금융의 종말을 유도하고 우리나라 금융업의 미래를 결정지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깨어 있는 민주시민의 역량으로 ‘서울, 아시아 금융허브’라는 국가적 사명에 동참하길 바란다. 감사합니다.
2025.11.30.
저작권자 © Institute for National Intelligence Strateg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