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드론조종사 자격증 개정증보판 서문
국가정보전략연구소
2019-02-02 오후 1:10:00
개정증보판을 내면서

지난 2월에 ‘드론 조종사 자격증’ 1판을 발간하고 3월 ‘드론학 개론’을 출간한지 불과 1년도 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내용을 추가해 달라는 독자들의 요구가 뜨거워 개정증보판을 발간하게 됐다. 연예인 김건모가 노년 준비용으로 드론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장면이 TV에서 방영되면서 일반인의 드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됐다.

청년층과 노인층을 불문하고 일반인의 드론 자격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수험서가 대거 출간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수험서는 기존에 출간된 수험서와 유사한 내용으로 구성되면서 차별성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드론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론으로 무장한 수험서가 출간돼야 하는데 아쉬움이 크다.

수험서 내용의 다양성이 부족한 것은 자격증 시험문제가 단순한 것도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험의 수준과는 관계없이 드론 관련 이론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하면 드론 산업은 꽃을 피우기도 전에 ‘지리멸렬’하게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국내 드론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건이 충족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척박한 드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공공분야, 특히 군에서 드론의 개발, 활용 등을 선도해 주는 것이 효율적이다. 지난 몇 년 동안 국내 드론 업계의 체험에 비춰보면 민간의 수요만으로 한계가 있다는 것이 입증됐다.

과거 많은 젊은이들이 군에 복무하면서 자동차 운전, 중장비 조작법 등을 배워 민간에 나와 건설업에 투신한 사례가 있다. 건설업계가 누린 1960~70년대 베트남 특수, 1980년대 중동 특수 등도 군대에서 양성된 우수한 인적자원이 뒷받침됐기 때문에 가능했다.

한국의 드론 산업도 비슷한 접근법으로 육성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세계 최고 수준의 방위산업을 자랑하는 이스라엘도 군대와 민간기업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발전의 기반을 닦았다. 군대에서 다양한 실전경험을 축적한 젊은이들이 제대 후에 첨단 군사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 기업을 창업하거나 방위산업에 투신한 것이 오늘날 이스라엘 방위산업과 첨단기술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원동력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드론 자격증 시험을 세분화해 전문가를 집중적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높다. 예를 들면 레저용으로 드론을 활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기본 자격증(3급), 산업용으로 활용하려는 사람은 중급 자격증(2급), 개발과 수리 등에 종사하고자 하는 사람은 고급 자격증(1급) 등으로 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자격증의 종류에 따라 시험의 내용과 난이도도 이에 맞춰 바꿔야 하는 것은 ‘당연지사’다. 현재 자격증을 취득해도 드론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는 것은 불가능한 수준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단순히 드론을 비행할 수 있는 기술만으로 드론 자격증의 활용가치를 찾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현재 드론 자격증의 필요성을 폄하하는 분위기도 적지 않은데, 이도 자격증이 전문가라는 보증을 해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드론 조종사 자격증의 취득과정이 너무 쉽거나 아니면 시험에서 평가하는 영역이 산업의 수요와는 동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이 갭(gap)을 해소해야 드론 산업이 체계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일부 정치인과 전문가가 ‘선 허용 후 규제’라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고 본다. 실제 현장을 다녀보면 정부의 과도한 규제도 문제이지만 그것보다는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지 못해 ‘우왕좌왕’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

많은 돈을 투자해 자격증을 취득해도 마땅히 사용할 방법을 찾지 못하는 자격증 소지자가 대부분이다. 취미생활보다는 부업이나 생업을 찾기 위해 드론 자격증을 딴 사람이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드론 조종사를 찾는 일자리는 부족하다. 무엇이 문제인지 정확하게 파악해 대안을 제시해야 하지만 현재 제시된 정책과 아이디어만으로는 부족하다.

정부가 드론 산업을 육성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 피부에 와 닿는 정책이 없는 것도 다른 이유 중 하나다. 지난 몇 년 동안 정책은 수 없이 발표됐지만 현실적으로 유효했던 대안은 거의 없었다. ‘탁상공론’을 하면서 또 다시 몇 년을 ‘허송세월’해서는 안 된다. 공무원과 정치인이 함께 구호만 요란하게 외친다고 없는 일자리가 생기지는 않는다.

넷째, 정부 혼자서 4차 산업혁명의 꽃이라고 불리는 드론 산업을 육성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빨리 인지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민간의 도움이 절실하게 필요한데 정부의 정책이 벌써 민간으로부터 신뢰를 잃는다면 한국에서 드론 산업이 발전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드론도 단순히 전기 배터리를 활용한 멀티콥터만을 생각하고 기술개발을 한다면 한국의 드론 산업은 미래가 없다. 고정익, 틸터로터를 포함해야 하고, 배터리뿐만 아니라 내연기관에 대한 연구개발도 포기해서는 안 된다. 또한 드론을 단순히 ‘하늘을 나는 이동체’에 불과하다고 보면 ‘과소평가’하는 것이다.

4차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있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Robotics), 빅데이터(Big Data) 등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드론 산업을 육성하려고 추진한다면 국내 드론 산업 전체가 공멸할 가능성이 높다. 더 늦기 전에 드론을 연구하고 있는 학자, 산업현장에서 드론을 활용하는 전문가 등이 머리를 맞대고 논의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드론 산업을 육성하는 것은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전문가의 노력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민관군 협력이 필요하다. 위에서 제시한 것처럼 민간에서 드론 조종사에 대한 수요가 부족하다면 군에서 집중적으로 소화할 필요가 있다. 현역 군인들은 드론 조종술을 배우고, 드론의 제조 및 보수는 민간 기업에게 위탁하는 방식으로 추진한다면 산업육성에 필요한 기본 수요는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군과 마찬가지로 경찰, 소방, 한국전력과 같은 공기업 등이 드론 조종사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는데 앞장서야 한다. 드론의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융·복합 기술 등에 대한 투자를 늘리면 자연스럽게 드론 산업이 발전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최근 공군 각부대의 도서관에 저자들이 집필한 드론 관련 책 ‘드론 조종사 자격증’, ‘드론학 개론’ 2권이 보급됐다. 공군에 복무하는 현역들이 드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공군의 경쟁력을 확대하는데 일조하고 더 나아가 개개인의 자기계발에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끝으로 드론에 대한 애정을 갖고 책을 구입하는 모든 독자들이 드론 조종사 자격증을 취득하기를 바란다. 당장 자격증의 활용도가 낮다고 해도 드론 산업이 발전하면서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는 기회는 늘어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척박한 한국의 드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동참해준 독자들에게 다시 한번 더 감사의 말을 전한다. “도반이 된 것을 환영하며 감사합니다.”

2018년 12월

PREFACE 서문

저자일동
저작권자 © Institute for National Intelligence Strateg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eminars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