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해설(29)... 정보분석기법 중 역할연기에 대한 이해
다자간 협상에서 다른 국가나 단체 혹은 개인이 어떤 협상안을 들고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수많은 대안을 찾고 대처방안을 수립하는데 유리
정보직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기출예상문제 표지 [출처=엠아이앤뉴스]
◈ 질문 내용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39p 관련 질문
139p 89번 4번 선지에 역할 연기가 '다자간 협상'을 준비하는데 효과적이다라는 내용을 설명 부탁드립니다. 역할연기가 특정 인물의 대역을 통해서 정체가 알려져 있지 않은 상대나 범죄집단 등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것은 알겠습니다.
다자간의 협상이라면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등 여러국가의 협상에서도 역할 연기가 유리하다는 말인데 왜 다른 분석들에 비해 다자간 협상에 역할 연기가 유리한건가요???
--> 역할연기는 다자간 협상에서 다른 국가나 단체 혹은 개인이 어떤 협상안을 들고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수많은 대안을 찾고 대처방안을 수립하는데 유리합니다.
1993년 북한 핵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시작한 6자 회담도 비슷한 관점인데 실제 충분하게 검토하지 않아서 실패했습니다. 6자 회담 당사국은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한국, 북한 등입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 )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기출예상문제 표지 [출처=엠아이앤뉴스]
◈ 질문 내용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39p 관련 질문
139p 89번 4번 선지에 역할 연기가 '다자간 협상'을 준비하는데 효과적이다라는 내용을 설명 부탁드립니다. 역할연기가 특정 인물의 대역을 통해서 정체가 알려져 있지 않은 상대나 범죄집단 등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것은 알겠습니다.
다자간의 협상이라면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등 여러국가의 협상에서도 역할 연기가 유리하다는 말인데 왜 다른 분석들에 비해 다자간 협상에 역할 연기가 유리한건가요???
--> 역할연기는 다자간 협상에서 다른 국가나 단체 혹은 개인이 어떤 협상안을 들고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수많은 대안을 찾고 대처방안을 수립하는데 유리합니다.
1993년 북한 핵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시작한 6자 회담도 비슷한 관점인데 실제 충분하게 검토하지 않아서 실패했습니다. 6자 회담 당사국은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한국, 북한 등입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 )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 © Institute for National Intelligence Strateg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