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해설(06)... 비밀공작의 노출 위험에 대한 논란
비밀공작을 결정하며 국익을 얼마만큼 고려해야 하는지 여부
정보직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기출예상문제 표지 [출처=엠아이앤뉴스]
◈ 질문 내용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69p 관련 질문
.p169에서 16번 문제에서 3번이 틀린 선지라고 나와있는데요. 이론요약책에서 (3)에 노출위험의 검토에서 '만약 실패할 경우 국가가 입게 될 손실과 성공하였을 경우 얻을 수 있는 국익과의 비교도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나와있는데요.
그러면 3번 선지의 성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국익의 측정 가능성이라는 것도 비밀공작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되는 요소가 아닌가요?
실패했을 때 손실과 성공했을 때 얻는 국익의 저울질이 당연히 필요한거 같은데요. 16번 문제에 1번~4번 선지가 모두 맞는거 같습니다.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 '성공하였을 경우에 얻을 수 있는 국익의 측정가능성'에서 측정가능성은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이익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비밀공작은 한국에서 연구가 많이 되지 않은 영역이라 미국 CIA에서 발간한 책이나 논문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다양한 자료를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 )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기출예상문제 표지 [출처=엠아이앤뉴스]
◈ 질문 내용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69p 관련 질문
.p169에서 16번 문제에서 3번이 틀린 선지라고 나와있는데요. 이론요약책에서 (3)에 노출위험의 검토에서 '만약 실패할 경우 국가가 입게 될 손실과 성공하였을 경우 얻을 수 있는 국익과의 비교도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나와있는데요.
그러면 3번 선지의 성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국익의 측정 가능성이라는 것도 비밀공작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되는 요소가 아닌가요?
실패했을 때 손실과 성공했을 때 얻는 국익의 저울질이 당연히 필요한거 같은데요. 16번 문제에 1번~4번 선지가 모두 맞는거 같습니다.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 '성공하였을 경우에 얻을 수 있는 국익의 측정가능성'에서 측정가능성은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이익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비밀공작은 한국에서 연구가 많이 되지 않은 영역이라 미국 CIA에서 발간한 책이나 논문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다양한 자료를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 )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 © Institute for National Intelligence Strateg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