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해설(02)... 정보기관과 정보소비자의 관계 이론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기회분석학파의 접근법 채용
정보직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기출예상문제 표지 [출처=엠아이앤뉴스]
◈ 질문 내용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36p 관련 질문
책 P136에서 76번의 2번 지문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2번 지문은 맞는 지문인데요. 영국 정보기관은 정보소비자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기술학파에 소련, 과학적 예측학파에는 미국, 기회분석학파에는 한국만 나와있는데... 76번 문제의 2번 지문에 따르면 영국도 한국처럼 기회분석학파라고 생각하는게 맞는건가요?
-->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기회분석학파의 접근법을 채용한다고 보면 맞습니다. 전통주의는 1947년 미국 CIA가 창설될 때 셔먼 켄트가 정립한 이론입니다. 시대적 상황이 달라지고 최고정책결정권자의 니즈를 충족한다는 측면에서 트렌드가 바뀐 것입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 )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기출예상문제 표지 [출처=엠아이앤뉴스]
◈ 질문 내용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36p 관련 질문
책 P136에서 76번의 2번 지문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2번 지문은 맞는 지문인데요. 영국 정보기관은 정보소비자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기술학파에 소련, 과학적 예측학파에는 미국, 기회분석학파에는 한국만 나와있는데... 76번 문제의 2번 지문에 따르면 영국도 한국처럼 기회분석학파라고 생각하는게 맞는건가요?
-->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기회분석학파의 접근법을 채용한다고 보면 맞습니다. 전통주의는 1947년 미국 CIA가 창설될 때 셔먼 켄트가 정립한 이론입니다. 시대적 상황이 달라지고 최고정책결정권자의 니즈를 충족한다는 측면에서 트렌드가 바뀐 것입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 )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 © Institute for National Intelligence Strateg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