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비밀등급"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이론요약 표지 [출처=엠아이앤뉴스]정보직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이론요약 125p 관련 질문6장 p125 비밀의 인가권자에서 비밀은 국가의 '군사' 포함 다른 분야의 모든 비밀이고 비밀등급 지정권자에서 비밀은 '군사' 분야만 국한된 건가요?-> 맞습니다. 비밀의 인가권자에서는 국가의 모든 비밀을 인가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리고 군사비밀은 군사에 관련된 비밀입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 )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3-04-15사이버보안학과‘산업보안학’교재 채택 늘어최근 금융권 및 신문·방송사의 사이버테러사건 발생 이후 사이버테러 대응 전담팀 구성이 본격 논의되고 있다. 특히, 위기 대응체제를 한곳으로 모으는게 효율적이라는 판단하에 ‘국가사이버위기관리법’제정이 본격 논의되고 있는 중이다.학계에서도 사이버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그린경제 보도에 의하면 ‘사이버보안’학과가 설치된 대학이 24개교, 지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 사이 신설된 대학이 12개교 이다.이들 대학들 중에 ‘산업보안학’을 전문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는추세이다.대학에서 교재[전문서적]로 채택되고 있는 '산업보안학' 교재 이미지와 목차를 소개한다.▲ 산업보안학[민진규 저][산업보안학 목차 안내]그림 목차그림1. 기업보안의 분류그림2. 기업보안의 3요소그림3. 기업보안에 대한 기업의 인식그림4. 현재 운용하고 있는 보안체계그림5. 최적의 보안투자그림6. 투자를 늘리고 있는 영역그림7. 기업업무 프로세스그림8. SEM을 위한 솔루션 구성그림9. SWOT분석을 통한 전략선택그림10. CSO에게 요구되는 기능그림11. 보안책임자의 과거이력그림12. ISO 11779의 운영체계그림 13. 보안과의 전쟁(좌), 비밀번호 보호(우)그림14. 출입안내(좌), 비밀번호관리(우)그림15. 보안인력의 복장그림16. 가스총(좌), 진압봉(우)그림17. 신원조사의 등급그림18. 권리와 신분변화에 따른 관리그림19. 내부통제시스템과 관리그림20. 직장폭력의 유형과 내용그림21. 직장폭력의 영향전이단계그림22. 직장인의 사생활 관련 주요 상담주제그림23. 기업보안부서의 구성 예그림 24. 국내 상황에 적합한 보안조직그림25. DB 보안의 운영 체계도그림26. PC보안의 종류그림 27. 서버보안 체계그림 28. 다양한 통신장비그림 29. 패킷 모니터링 시스템그림 30. 방화벽그림 31. 침입탐지시스템그림 32. 침입방어시스템그림 33. 가상사설망그림 34. 네트워크관리시스템그림 35. PKI 구성그림 36. 공개키 암호방식그림 37. 통합보안관리시스템그림 38. 항공기 조정석 계기판그림 39. 트로이 목마의 설치그림 40. 디도스 공격그림 41. 정보보호 5단계그림 42. 정보보호의 계층적 구조그림 43. 정보보호체계 구축그림 44. 경계구역에 설치된 복합 감시시스템그림 45. 시설보안장비활용의 트렌드그림 46. 오픈형 출입문(좌), 폐쇄형 출입문(우)그림 47. X-Ray 탐지기(좌), 금속탐지기(우)그림 48. 생체인식시스템, 지문(좌), 얼굴인식(가운데), 정맥인식(우)그림 49. 펜스에 설치된 광케이블 센서그림 50. 바닥에 설치된 로드블록(좌), 타이어 킬러(우)그림 51. 내방객 관리 체계도그림 52. 화분을 이용한 차량접근 방지그림 53. 주차장 벽의 절개로 시야확보그림 54. 주차장의 조명등그림 55. 통제본부의 전경그림 56. 도청기의 설치 징후그림 57. 비밀등급의 표지그림 58. 비밀의 관리번호와 사본번호 부여그림 59. 비밀문서를 파기하는 파절기그림 60. 비밀문서의 보호원칙그림 61. 전자문서보안 운영도그림 62. 기업보안의 외우내환그림 63. 영업비밀의 유출사고 원인그림 64. 회사 비밀 유출 시 대처방법그림 65. 9∙11테러 이후 보안정책에 대한 인식차이그림 66. 보안사고 후 재발방지를 위한 조치 내용그림 67. 기업이 직면할 보안사고의 유형그림 68. 현재 직면하고 있는 보안사고의 심각성그림 69. IT보안책임자가 걱정하는 잠재적 위협그림 70. IT보안 위협요소의 심각도 분석그림 71. 산업스파이가 기업을 비밀을 입수하는 방법그림 72. 미국 기술을 수집하는 외국인의 유형 2001년(좌), 2003년(우))그림 73. 미국 CIA의 계층적 경제정보활동 정책그림 74. 기업 내부 부정행위의 종류그림 75. 보안사고 인지 방법그림 76. 조사의 방법그림 77. 보안진단의 6단계그림 78. 위험관리 5단계그림 79. 자산의 위험분석 모델그림 80. 고위험 지역이 아닌 지역그림81. 한국의 전략물자 수출통제그림 82.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종류- 끝-
-
2012-06-25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질문 내용: 2012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관련 질문질문 1. .정보분석 기구의 유형에서요. 우리나라는 분산형입니까?= 개별 정보기관마다 분석부서가 별도로 있는 분산형입니다.질문 2. 자꾸 헷갈리는 점이 있습니다. 책 5장의 정보분석기구 유형에서 (1) 분산형 (2) 중앙집중형 (3) 경쟁적 분석형 이 있습니다. 책 23장을 보면 정보기구에서 (1) 분리형 (2) 통합형 이 있습니다. 그러면 위의 (1) 분산형과 아래의 (A) 분리형은 같은 의미로 생각해도 괜찮습니까?= 분석기구의 분산형은 정보기구가 별도로 분석부서를 두고 있다는 의미이고, 정보기구의 분리형은 해외정보 수집활동, 방첩활동 등 정보기관의 활동을 별개의 정보기관이 수행한다는 의미입니다.질문 3. 비밀의 표지 관련입니다. "전후면의 표지와 매면 상하단의 중앙에 비밀표지" 제가 군에 있을 때 본 비밀은 지면 중앙에 비밀등급표시가 투명하게 처리되어 인쇄되어 있었던 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면 맨 위와 아래에는 BOX 쳐서 비밀등급이 표시되어 있었던 걸로 기억하고 있고요... 그런데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기억이 가물가물해서요. 그럼 "전∙후면의 표지"라는 문구 뜻이 바로 지면 정중앙에 투명하게 인쇄된 비밀등급표시를 가리키는 것인지요?= 비밀이 1장 이상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 표지와 맨 마지막 장을 말합니다.질문 4. 만약 이게 맞다면, 비밀등급 수정 시 구표지에 대각선을 긋고 그 측면 또는 상하단 여백에 새로운 비밀등급을 표시한다고 하셨는데. 제 기억엔 맨 상단과 하단에 있는 비밀등급은 그런 식으로 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것도 확실한 기억은 아닙니다) 그런데 정중앙에 있는 비밀등급표시도 똑같이 대각선을 긋고 측면 또는 여백에 새로운 비밀등급을 표시한다는 말인지요? 아니면 그것과 상관없이 지면 전체를 가로질러서 대각선을 긋고 여백에 수정표시를 한다는 것인지요?= 비밀등급에만 대각선을 긋고 여백에 새로운 비밀등급을 표시합니다.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2-03-16산업보안학 ISS[민진규 저] 구성 목차1장 산업보안의 이해2장 관리적 보안3장 기술적 보안4장 물리적 보안5장 보안사고6장 산업보안 관련 법률표목차그림목차- 장별 목차 안내 -그림 목차그림 41. 정보보호 5단계그림 42. 정보보호의 계층적 구조그림 43. 정보보호체계 구축그림 44. 경계구역에 설치된 복합 감시시스템그림 45. 시설보안장비활용의 트렌드그림 46. 오픈형 출입문(좌), 폐쇄형 출입문(우)그림 47. X-Ray 탐지기(좌), 금속탐지기(우)그림 48. 생체인식시스템, 지문(좌), 얼굴인식(가운데), 정맥인식(우)그림 49. 펜스에 설치된 광케이블 센서그림 50. 바닥에 설치된 로드블록(좌), 타이어 킬러(우)그림 51. 내방객 관리 체계도그림 52. 화분을 이용한 차량접근 방지그림 53. 주차장 벽의 절개로 시야확보그림 54. 주차장의 조명등그림 55. 통제본부의 전경그림 56. 도청기의 설치 징후그림 57. 비밀등급의 표지그림 58. 비밀의 관리번호와 사본번호 부여그림 59. 비밀문서를 파기하는 파절기그림 60. 비밀문서의 보호원칙- 계속 -
-
2011-04-16수집한 첩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석기법을 동원하여 분석한 정보를 정보보고서로 생산하게 된다. 정보보고서는 적시성, 정확성, 완전성 및 실행성을 가져야 한다. 비밀보고서는 사전계획에 의해, 필요한 최소수량만 생산하고, 배포처에 따라 비밀의 내용을 제한해야 한다. 한국에서 생산되는 정보보고서는 I급, II급, III급 및 대외비로 구분된다. 내용에 따라 분류하는 비밀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라야 한다. 과도 또는 과소분류를 해서는 안 되며, 독자적 내용과 가치의 정도에 따라 분류해야 하고, 행정상의 과오나 업무상 과실을 은닉할 목적으로 비밀이 아닌 사항을 비밀로 분류해서도 안 된다. 또한 비밀의 제목에 비밀내용을 표시해서도 안 된다. 비밀문서는 원칙적으로 복사나 복제를 할 수 없으며, 필사도 원격하게 금지된다. 업무상 불가피하게 필사한 경우 필사한 문서도 원본문서와 동일한 비밀등급으로 관리해야 한다. 비밀은 생산 시에 확정한 존안기간의 만료에 따라 파기를 하게 된다. 문서의 경우 세단기로 세단하여 소각해야 하며, 기타 자재는 원형을 복원하거나 파악할 수 없도록 용해 등으로 처리해야 한다.미국 정보기관은 현용정보, 경고정보, 평가 및 분석정보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생산하게 되며, 백안관 고위관리, 고위직 공무원 등 소수의 주요 소비자에게 배포하게 된다. 예를 들어 CIA가 주 6회 발행하는 대통령일일브리핑은 대통령과 백안관의 한정된 고위직에게만 제공된다. 미국 CIA는 개인마다 정보판단의 기준이 다르므로 적절한 기준을 수립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정보기관은 기본정보, 현용정보, 판단정보, 경보정보에 관련된 다양한 보고서를 생산하게 되며 각 보고서에 따라 배포인원에 대해 한정되게 된다. 각 정보별 보고서의 종류에 생산하는 정보기관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비밀등급을 부여해 생산한 정보보고서는 각종 수단을 통해서 수요인원이나 수요부서에 배포해야 한다. 사람이 직접 전달할 수도 있으며, 팩스, 텔렉스, 전산통신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비밀 내용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해야 하며, 비밀은 전신, 전화 등의 일반통신수단에 의해 평문으로 수발해서는 안 된다. I급 비밀 및 암호자재는 암호화하여 전신으로 수발해야 하며, II급, III급 비밀은 등기우편으로 수발이 가능하나 등기로 우송 시는 반드시 이중봉투를 사용해야 한다. 대외비의 수발은 III급 비밀에 준하여 한다. 일반문이라고 하여도 다음과 같은 경우는 승인된 보안자재로 수발하여야 한다. 국가 안전보장,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에 관련된 내용, 경제안정을 해치는 내용, 적에게 이로운 첩보자료가 될 우려가 있는 내용을 포함하는 것이다.정보배포와 관련된 문제점으로는 필요한 수요인원에게 적절한 시기에 배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2차 대전 시에 워싱턴에 있던 미 국방성 고위관료들은 일본의 전쟁준비나 공격가능성을 사전에 알고 있었지만, 진주만에 있던 미 해군은 이를 알지 못하여서 기습을 당한 것이다. 따라서 정보의 분류와 배포는 반드시 하나의 중앙집권적인 기관에 의해 통제되어야 하며, 정보예측과 관련된 모든 수요자에게 동일한 접근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판단하여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고위직들은 정보 접근권이 확보되어 문제가 적지만, 일선 분석관은 자신의 견해나 판단을 수정해야 할지도 모르는 민감한 정보에의 접근이 차단되는 경우가 많다. 정보기관은 정보출처보호 차원에서 이를 숨기거나 애매하게 표현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민감한 정보출처에 대한 접근권도 제한된다. 정보기관 간이나 동일기관 내부라고 하여도 부서끼리 이기주의가 있어 창의적이고 정확한 분석을 방해하게 된다. 비밀주의는 해당정보를 가지고 분석할 수 있는 사람을 한정하거나 필요한 정보의 순환을 지체함으로써 정보소비자의 정보욕구에 대한 조직의 대응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