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질적분석"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이론요약 표지 [출처=엠아이앤뉴스]정보직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이론요약 104p 관련 질문'5장 정보분석' 수업에서 질문입니다.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에서 어떤 기법이 어떤 분석인지 분류 정도만 하면 되는건가요?델파이 기법, 문제점 발견 기법, 발상의 전환법, 위원회토의는 인강에서 자세하게 다루지 않으신거 같아서혼자 읽어보고 이해하려고 하는데..."이게 왜? 질적분석인지 양적분석 아닌가?" 이렇게 혼동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의사결정나무 기법도 양적인지 질적인지 의견이 분분했다고 수업시간에 말씀하셨던거 같은데...그냥 이게 왜 이쪽인지 완벽하게 이해하려 하지 않고 암기해서 해결하는게 좋을까요?--> 암기만 해도 시험을 대비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너무 깊이 고민하지 마세요.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 )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3-04-03국정원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직무와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21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240p 관련 질문240페이지 86번에 대안분석기법에 포함되는 것은? 악마의변론, 이렇게 나와있는데요... 238페이지 77번 해설 보면 대안분석이라는 분석기법은 없다는데요? -->대안 분석기법이라는 용어는 없고, 질적분석기법과 양적분석기법과는 다른 대안으로 활용하는 분석기법이라는 개념을 설명한 용어라고 봐야 합니다. 기출문제이지만 수험생들의 기억에 의존해 복기하면서 한계가 있는데, 이런 상황입니다. 86번 지문이 '대안으로 하는 분석방법을 찾으라'고 출제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8-06-18국정원이나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18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62p 이론 관련 질문안녕하세요 소장님. '민진규 국가정보학' 교재로 독학하고 있는 군무원 준비생입니다소장님의 ‘민진규 국가정보학’ 책 162쪽에서 정보분석의 양적분석과 질적분석 부분에서델파이 분석이 질적분석으로 분류하셨습니다.그런데 다른 인터넷 또는 교재들은 델파이 분석이 양적분석이라고 나오고 있습니다. 수험생 입장에서 소장님의 자료를 맹신하지만 또한 시험을 보는 입장에서 이러한 혼란이 나타나는 것이 독학하는데 너무나도 답답함을 가져오기에 델파이 기법이 질적분석이라고 생각하시는 소장님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델파이기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반복해 모아서 통계를 낸 확률로 미래를 예측하는 분석기법’입니다. 다수의 의견을 취합해 통계를 내고 확률에 따라 미래를 예측한다는 점에서 양적분석기법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하지만 다수의 전문가가 정량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의견을 개진하기 때문에 질적분석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일부 책에서 전문가의 의견을 취합하고 통계를 낸다는 점에만 착안해서 양적분석이라고 분류하는 것입니다. 해외 정보전문가나 정보기관은 델파이기법을 질적분석에 포함하고 있습니다.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8-06-18국정원이나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18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92p 68번 문제 관련 질문안녕하십니까? 민진규 국가정보학의 객관식 문제 정답이 잘못된 것으로 보입니다. 192쪽 68번 정답은 4번이 맞는 거 같습니다. 정답지에 1번으로 되어있는데 4번으로 수장이 필요할거 같습니다-- 정답은 ④번이 맞습니다. 질적분석 기법에 포함되는 않는 것을 찾는 문제인데, 의사결정나무기법이 양적분석기법에 포함됩니다. 문제의 해설도 그렇게 되어 있는데, 정답만 ①번으로 잘못되어 있었습니다.매년 양적분석기법과 질적분석기법에 관련된 문제가 출제되고 있으므로 종류나 개념 등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기출문제의 정답이 애매하거나 다른 책과 일부 차이가 있는 내용이 있지만 이 책의 내용을 신뢰하는 것이 유리합니다.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8-04-18국정원이나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질문 내용: 2018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67p 관련 질문안녕하십니까? 저자님 책에서는 델파이기법이 질적분석이라고 나왔는데 현대국가정보학이라는 책에서는 양적기법으로 나오는데 어떤 것이 맞는 건지 궁금합니다.-- 델파이기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반복해 모으고 발전시켜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해 통계를 낼 경우 확률로 미래를 예측할 있는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양적기법이라고 본 것이라고 봅니다. 전문가의 의견을 정리하는 것은 단순 수치의 통합이나 분석이기 아니기 때문에 양적분석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다른 책의 저자가 델파이기법을 양적분석으로 분류한 이유가 있을 것이지만 저는 델파이기법을 양적분석이 아니라 질적분석에 포함시키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학자나 전문가들도 델파이기법은 질적분석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혼란스럽겠지만 시험에 출제될 경우 질적분석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1-04-16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주저 말고 이메일(stmin@hotmail.com)으로 언제든지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2010년 개정판 5장 정보분석에 관한 내용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비교 부분입니다.다른 기본서에는 Matrix(행렬표)가 경쟁가설기법(질적)으로 나와있는데요.선생님 책(p. 121)은 Matrix Method라고 따로 설정하셔서 양적분석으로 분류하셨더라고요.그리고 경쟁가설에서는 '행렬표'라는 말이 빠져 있고요. 이론이 수정된 것인가요?- Matrix Method는 행렬분석으로 양적분석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경쟁가설은 경쟁하는 다수의 가설을 비교하면서 상대적으로 경쟁력 있는 가설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질적분석입니다.이론이 수정된 것이 아니라 아마도 명확하게 양적 분석기법과 질적 분석기법으로 분류하기 모호한 분석기법일 수도 있습니다.실제 분석기법을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으로 나눴지만, 양자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기법도 많습니다.다른 책에서 다르게 표현할 수도 있지만, 대체적인 분류법은 제 책의 기준을 가지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2010년 개정판 6장 정보생산과 배포에 관한 내용비밀문서 관리 공부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비밀 문서의 복제, 복사'에서 Ƈ급 비밀은 복사가 불가함' 이라고 148p에 쓰여 있는데요.보안업무 규정 22조를 보면 Ƈ급 비밀은 그 발행자의 허가를 얻을 때' 가능하다고 나와 있습니다. 이걸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지 잘 모르겠습니다.- 예. 맞습니다. 1급 비밀은 발행자의 허가를 얻을 때 가능하고, 암호 및 음어 자재는 어떠한 경우에도 복제, 복사하지 못합니다.위 내용은 2010년 민진규 국가정보학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011-04-16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주저 말고 이메일(stmin@hotmail.com)으로 언제든지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2010년 개정판 오타와 보완내용1. 51p "6. 정보판단에 대한 선호"에서 3번째 줄에 자신이 2차적으로 헤게(?)해석하여, 4번째 줄에 조류하는 밠는(?)오타가 아닌지요?- ‘헤게’는 삭제하고, ‘조류하는 밠는’은 ‘조류에 밝은’ 으로 바꿔야 합니다.2. 58p 밑에서 2번째 줄 임부(?)의 부여와 정보의 오타가 아닌지요?- ‘임무’의 오타가 맞습니다.3. 73p "44번 문제 정답과 해설이 틀리게 나온 것 같아여. 2번이 정답이 아닌지요?- 2번이 정답입니다.4. 134p "7번 문제 의사결정나무 기법은 질적분석 방법에 속한다라고 나와있습니다. (책 본문에는 양적분석으로 나온 것 같습니다)- 의사결정나무기법은 양적분석으로 봐야 합니다.5. 134p "9번 문제 해석에 보면 관련된 자료나 첩보를 수집하였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라는 말이 바로 뒤에 이어지는 적시성은 평가기준이 아니다 라는 말고 연결 관계가 다소 헷갈리는데 뒷말이 적합성으로 이어져야 하는지 아니면 앞 말이 빠져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해설을 ‘이미 제시된 문제의 시급성에 따라 관련된 자료나 첩보를 수집하였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적시성은 평가기준이 아니다’라고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6. 140p 30번 문제에서 보기 4번에 "귀납적 통계분석은 분석자의 주관이 개입된다는 단점이 있다"라고 되어있는데 본문에서는 귀납적 통계분석은 분석자의 주관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라는 말과 헷갈려 보입니다.- ‘주관이 개입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로 해야 맞습니다.7. 141p 31번 문제에서 다음 중 정보분석관에 관련된 오류 중 설명이 올바르지 않은 것은? 이라고 되어있는데 보기들은 분석기관에 대한 설명들이 다수 인데 조금 더 정확하게 하자면 질문을 분석관에서 분석기관으로 고치는 게 바르지 않나요?- 분석관으로 해도 무방합니다.8. 147p (4) 상황판 등의 표지 에서 3번에 보면 "절적한" 크기로 되어 있는데 적절한이 맞지 않은지요?- ‘적절한’이 맞습니다.9. 154p 4번 문제에서 3번 보기에 그냥 국가정보판단 보고서는 이라고 되어있는데 특별국가정보판단 보고서가 정확하지 않은지요?- 정답이 3번이므로 특별국가정보판단이 맞습니다.10. 155p 6번 문제에서 보기 2번에 국방정보분석이라고 나와 있는데 국방정보평가로 고쳐야 정확하지 않은지요?- ‘국방정보평가’로 하는 것이 맞습니다.11. 155p 8번 문제에 보면 보기 1번에 "2급 비밀은 단일 봉투에 넣어 전달한다" 라는 말이 본문에는 없는 것 같아서 질문입니다.- 특수 수발계통을 활용한다면 단일봉투에 넣어도 무방합니다.12. 157p 18번 문제에 보기 2번에 기준을 정항(?) 공동으로 정하여로 고쳐야 되지 않은지요?- ‘기준을 정해’로 고쳐야 맞습니다.위 내용은 2010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2쇄에 반영할 예정입니다.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