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델파이"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이론요약 표지 [출처=엠아이앤뉴스]정보직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이론요약 104p 관련 질문'5장 정보분석' 수업에서 질문입니다.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에서 어떤 기법이 어떤 분석인지 분류 정도만 하면 되는건가요?델파이 기법, 문제점 발견 기법, 발상의 전환법, 위원회토의는 인강에서 자세하게 다루지 않으신거 같아서혼자 읽어보고 이해하려고 하는데..."이게 왜? 질적분석인지 양적분석 아닌가?" 이렇게 혼동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의사결정나무 기법도 양적인지 질적인지 의견이 분분했다고 수업시간에 말씀하셨던거 같은데...그냥 이게 왜 이쪽인지 완벽하게 이해하려 하지 않고 암기해서 해결하는게 좋을까요?--> 암기만 해도 시험을 대비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너무 깊이 고민하지 마세요.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 )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8-06-18국정원이나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18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62p 이론 관련 질문안녕하세요 소장님. '민진규 국가정보학' 교재로 독학하고 있는 군무원 준비생입니다소장님의 ‘민진규 국가정보학’ 책 162쪽에서 정보분석의 양적분석과 질적분석 부분에서델파이 분석이 질적분석으로 분류하셨습니다.그런데 다른 인터넷 또는 교재들은 델파이 분석이 양적분석이라고 나오고 있습니다. 수험생 입장에서 소장님의 자료를 맹신하지만 또한 시험을 보는 입장에서 이러한 혼란이 나타나는 것이 독학하는데 너무나도 답답함을 가져오기에 델파이 기법이 질적분석이라고 생각하시는 소장님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델파이기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반복해 모아서 통계를 낸 확률로 미래를 예측하는 분석기법’입니다. 다수의 의견을 취합해 통계를 내고 확률에 따라 미래를 예측한다는 점에서 양적분석기법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하지만 다수의 전문가가 정량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의견을 개진하기 때문에 질적분석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일부 책에서 전문가의 의견을 취합하고 통계를 낸다는 점에만 착안해서 양적분석이라고 분류하는 것입니다. 해외 정보전문가나 정보기관은 델파이기법을 질적분석에 포함하고 있습니다.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8-06-18국정원이나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18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61p 본문 내용 관련 질문안녕하십니까? 지난번 델파이 기법을 물어본 수험생 직장인입니다. 161쪽 ‘2. 정보분석 가설이론’에서 켄트의 정보분석이 아니라 첩보분석 6단계가 아닌지요?-- 정보분석이라는 용어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정의를 한 학자도 많지 않고, 정보분석의 단계나 종류를 명확하게 분류한 학자나 전문가도 찾기 어렵습니다. 국내에 소개된 대부분의 관련 내용은 먼저 출판된 책이나 논문의 내용을 인용한 것으로 추정됩니다.셔먼 켄트(Sherman Kent)는 미국 CIA의 분석국의 기초를 만든 인물이고 ‘국가정보학’이라는 학문의 최고 권위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보분석 가설이론도 그가 제시한 정보분석 6단계에 기반하고 있습니다.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8-04-18국정원이나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질문 내용: 2018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67p 관련 질문안녕하십니까? 저자님 책에서는 델파이기법이 질적분석이라고 나왔는데 현대국가정보학이라는 책에서는 양적기법으로 나오는데 어떤 것이 맞는 건지 궁금합니다.-- 델파이기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반복해 모으고 발전시켜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해 통계를 낼 경우 확률로 미래를 예측할 있는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양적기법이라고 본 것이라고 봅니다. 전문가의 의견을 정리하는 것은 단순 수치의 통합이나 분석이기 아니기 때문에 양적분석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다른 책의 저자가 델파이기법을 양적분석으로 분류한 이유가 있을 것이지만 저는 델파이기법을 양적분석이 아니라 질적분석에 포함시키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학자나 전문가들도 델파이기법은 질적분석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혼란스럽겠지만 시험에 출제될 경우 질적분석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1